이 글은 5G폰을 LTE로 쓸 수 있나요?의 하위 글입니다.

샤오미폰은 다른 안드로이드보다 커스텀된 메뉴가 많습니다. 우리에게 흔한 갤럭시와 일부 차이가 있을 겁니다. 이 글은 MIUI 사용자를 위한 글입니다.
첫 번째 방법
1. 설정 앱에 들어갑니다

2. 모바일 네트워크에 들어갑니다

3. 설정할 유심카드를 누릅니다

4. 선호하는 네트워크 유형을 누릅니다

5. LTE를 누릅니다

이 방법은 쉽고 간단하지만, 자세하게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더 자세하게 설정할 수 있는 두 번째 방법도 아래에 적었습니다.
두번째 방법
네트워크 모드에 들어가야합니다
들어가는 방법 1
기본 전화 앱에 들어가 *#*#4636#*#*을 입력합니다

또는
들어가는 방법 2
설정 앱에 들어가 내 기기를 누릅니다


화면을 스크롤해 전체 사양을 눌러 내부 저장공간을 약 5~7회 연타합니다


1. 설정을 원하는 유심을 누릅니다

휴대전화 정보 1은 유심 1번 슬롯이고
휴대전화 정보 2는 유심 2번 슬롯입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뭔가 복잡해 보이는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2. 화면을 스크롤해 사진에 표시된 부분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의 사진처럼 많은 옵션들이 보입니다.
모르는 말이 많아도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설명한 그대로 차근차근하면 다 합니다.

3. 원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방식을 택합니다
▼ 6단계에 등장하는 통신 기술 용어 간단 정리
2022년 현시점, 한국 통신사를 기준으로 필요한 용어들 간단 정리합니다.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국내 통신 3사의 통신 기술>
SK망 | KT망 | U+망 | |
3G | WCDMA | WCDMA, HSDPA | (서비스 종료함) |
4G | LTE | LTE | LTE |
5G | NR | NR | NR |
5G
NR (SK, KT, U+ 서비스 중)
4G
LTE (SK, KT, U+ 서비스 중)
3G (U+ 한정 서비스 종료됨)
WCDMA (SK, KT 서비스 중), TDSCDMA (한국 통신사 미지원), EV-DO (U+ 한정 서비스했음)
2G (서비스 종료됨)
GSM (한국 미지원), CDMA (한국이 사용했던 방식)
즉, GSM, CDMA, TDSCDMA, EV-DO는 한국 통신사와는 상관이 없다 = 선택을 하든 말든 상관이 없다
< 고민할 필요 없다! 이것만 보면 끝! >
SK | KT | U+ | |
3G | WCDMA only | WCMDA only | (서비스 종료) |
4G | LTE only | LTE only | LTE only |
5G (우선) | NR/LTE ¹ | NR/LTE ¹ | NR/LTE ¹ |
3G, 4G | LTE/WCDMA | LTE/WCDMA | (= 4G 우선) |
4G, 5G | NR/LTE | NR/LTE | NR/LTE |
3G, 4G, 5G | NR/LTE/WCDMA | NR/LTE/WCDMA | (= 4G, 5G) |
¹ 현재 사용하는 5G는 LTE와 혼용하여 작동합니다. 따라서 NR only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1. 가로줄에서 자신의 통신사를 보고
2. 세로줄에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 옵션을 선택하세요
예시
KT를 쓰는데 3G, 4G로 쓰고싶다: LTE/WCDMA 선택
SKT를 쓰는데 4G만 쓰고싶다: LTE 선택
이 방법은 첫 번째 방법에 비해 더 자세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방법 1보다 복잡하고 재부팅을 하면 기본값(NR/LTE/GSM/WCDMA)으로 리셋됩니다.
'안드로이드 > 샤오미폰(MIUI)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오미폰 정품 확인하는 방법 (0) | 2022.08.24 |
---|---|
eu롬 MIUI 13 업데이트 방법 (1) | 2022.07.15 |
샤오미 폰의 롬 종류를 알아보자 (2) | 2022.04.09 |
MIUI 12.5 enhanced(증강판) 글로벌롬 일정 (1) | 2021.08.29 |
샤오미폰 언락하기 (Ver. 2) (0) | 2021.07.10 |